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TIOTB 입니다  


평소에 건강을 위해 운동을 열심히 하고 계신가요?


여성분들은 요가, 필라테스를

 

 

남성분들은 웨이트트레이닝을 주로 하는 것 같습니다

이런 이야기 들어보셨을겁니다

잘못된 운동은 건강을 해치는 지름길이다

맞습니다

땀나고 힘들고 근육이 부들부들 떨린다고

전부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급한 마음을 가져서

식사를 줄이고 운동량은 무리하게 높여

단기간에 체중감량을 이룰 수는 있지만

결코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정확한 방법으로 꾸준히 운동하는 것이

건강, 미모 모두 잡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오늘은 인바디 [체성분 분석기] 측정과 해석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운동 전 자신의 몸상태를 체크하는 것과 목표를 정하는 것은
올바른 운동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인바디 체성분 분석기란?

 가장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우리 몸에 미세전류를 흘려보내면

단백질, 지방, 수분, 무기질 등의 반응값이 다릅니다

이 반응값을 비교하여

체성분이 어떤 비율로 구성되어 있구나~ 하고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인바디 체성분 분석기 올바른 측정법

 가장 편안한 상태에서 실시하여야 합니다

 편안한 상태란?

 

- 운동 전

- 매우 춥거나 덥지 않은 환경

- 식사 전 공복

- 화장실을 다녀온 후

- 월경주기가 아닌 날 [여성]

- 주기적으로 측정한다면 최대한 같은 시간대에

 

요약하자면

 

쾌적한 환경에서 수면을 취하고 일어난 뒤

화장실을 다녀와서

창 밖을 10분 정도 바라보다가

측정하는 정도가 되겠습니다

 

하지만 집에서 측정할 수 있는 환경은 많지 않습니다

가까운 트레이닝 센터나 보건소가 있다면

아침에 천천히 걸어가서 측정하는 것도 방법이 되겠습니다 

 

 


인바디 체성분 분석기 해석법

 정확히 측정을 마쳤다면 결과를 볼 줄 알아야겠죠

 

인바디 사진을 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1. 체성분분석 (Boby Composition Analysis)

 

세포내,외 수분 - 수분의 균형이 깨지면 부종이 생길 수 있으며

사진상의 세포내수분이 표준범위보다 약간 높은 것은

근육량이 많거나 다른 원인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단백질 - 우리 몸에서 구성하는 주요 영양소이며 근육의 주성분입니다

수치가 표준범위보다 낮다면 단백질 섭취를 늘리고 운동량도 증가시켜야 합니다

 

 

무기질(=미네랄) 체중의 약 4∼5%를 차지하는 미량 영양소이지만 

조금만 부족해도 신체의 성장과 발육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질병에도 걸릴 수 있습니다

신체의 골격과 구조를 이루는 구성 요소이며, 체액의 전해질 균형을 이루고 체내의 생리 기능을 조절하는

필수영양소입니다

중요한 것은 어떤 생명체도 무기질을 합성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반드시 식품을 통하여 섭취하여야 합니다

약 80%는 뼈에 있으며 근육량이 증가하면 뼈의 무게도 증가하고 강해집니다

수치가 표준범위보다 낮다면 무기질이 다량 함유된 음식을 섭취하고

저강도의 운동을 시작으로 조금씩 강도를 높이며 근력운동을 해야합니다

사진상의 무기질이 4.52kg인데 바로 오른쪽을 보시면 3.71kg이라고 쓰여있습니다

이것이 뼈 속에 들어있는 무기질입니다

 

 

체지방 - 이 성분이 표준범위보다 많아지게 되면 비만과 성인병을 유발합니다

다이어트를 하는 대부분의 분들은 이 성분을 정상범위내 또는 그 이하로 줄이기 위해 노력들을 하십니다

 

 

 

 

2. 골격근 - 지방

 

체중, 골격근량, 체지방량

말그대로 질량만을 나타내줍니다

 

체중이 표준범위를 넘었다고해서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닙니다

적정체중도 중요하지만 체성분들이 신체를 얼마나 잘 구성하고 있는지가 더 중요합니다

 

 

 

 

3. 비만진단

 

BMI (Body Mass Index) - 체질량지수입니다

체중을 신장으로 나눈 값인데 비만 여부를 판정하기 위함입니다

일반적으로 운동을 시작하는 단계에서 이 수치가 표준범위 이상이라면 비만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유산소 운동을 더욱 적극적으로 하셔야합니다

하지만 근육량이 많은 사람은 표준범위를 대부분 넘습니다

그냥 참고 정도만 하시면 되겠습니다

 

 

체지방률 - 신체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냅니다

 

 

복부지방률 - 표준범위보다 높다면 내장지방이 많은 것입니다

내장지방은 피하지방보다 건강에 훨씬 악영향을 미칩니다

유산소운동, 복부운동을 중점적으로 하셔야 합니다

 

 

 

 

4. 신체균형

 

오른팔과 왼팔, 오른다리와 왼다리 처럼

좌우 근력비교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유독 차이가 크게 난다면 신체 밸런스가 맞지 않은 것이니

약한 쪽의 근력운동을 집중하여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5. 맨 아래 연구항목 (Additional Data)을 보시면 약자가 쓰여있습니다

 

BCM - 체세포량

 

BMC - 뼈무기질함량

 

BMR - 기초대사량

 

A C - 팔전체둘레

 

AMC - 팔근육둘레

 

 

 

 

6. 결과지 오른쪽을 보시면 체크 사항들이 보입니다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각 항목별로 어느정도에 위치해 있는지 나타내주는 것으로

운동방법을 결정하실 때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운동의 효과(신체변화)는 급격하게 오지않습니다
따라서 운동 시작 초기에 자주 측정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큰 변화가 없네 ... 역시 효과가 없네 등의 생각이 들면서  

운동에 흥미를 잃고 포기하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한달에 한번 또는 두달에 한번 측정해도 충분합니다
뭐든지 쉬운게 없습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운동을 즐긴다면

누구든 멋지고 자신있는 몸을 가질 수 있을겁니다

화이팅입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